F. Bobbitt을 찾다가 내 블로그에 들르는 손님들이 있는 것 같아서
간단하게 정리한 자료를 여기에 올립니다.
좀 더 부드럽게 문장을 고치면 좋겠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고, 두 서너 권의 책에서 발췌하여 소개하겠습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I.
F. Bobbitt(1876~1952)과 교육과정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전통적 교과에 대한 불만이 다양한 반응으로”(김진규, 35쪽) 나타나고,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대두되면서 교육과정 분야가 [...]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확립된 것은
Bobbitt가 1918년에 《교육과정(The Curriculum》이라는 책을 저술한 것과 관련이 깊다.”(김진규, 35쪽)
“현대 교육과정 학자들을 전통주의자, 개념-경험주의자, 재개념주의자의 세 가지로 분류”(김대현, 443쪽)한 Pinar에 따를 때 Bobbitt은 전통주의 입장에 속한다.
II.
‘활동분석법’
“건전한 교육목표 성취와 효과적인 교육과정 구안을 위하여 보비트는 전 범위에 걸친 인간의 경험을 몇 가지의 주요한 영역으로 구획짓는 '활동분석법'을 제안했다. 보비트는 신문에서 브리태니커사전 그리고 문학에서 과학에 이르기까지의 전 내용들을 널리 검토한 후에 10개의 주요 영역을 제안했다.”(교육문제사, 273쪽)
보비트가 제시한 10개 영역은 다음과 같다:
·언어활동
·건강
·시민권
·일반사회관계
·정신적으로 적정유지
·여가업무
·종교활동
·부모로서의 책임
·비전문화된 실제활동
·직업활동
III.
교육행정
Bobbitt은 또한 당시에 학교관리 및 장학행정에 과학적 관리원칙을 적용할 것을 주장한 인물이다.
1910년경, 여러 사회기관들이 비능률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때 학교도 그러한 비난을 벗어날 수는 없었다. 학교의 비능률을 비판한 주요 인물로는 Spaulding과 Bobbitt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학교는 과학적 관리론을 적용하여 능률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과학적 관리론은 “능률화 운동으로 최소의 노동과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올리는 일에 크고 공헌한 것은 사실이지만”(손영환, 32쪽) “인간보다 과업과 생산을 더 중요시함으로써 비인간화와 인간소외현상을 낳게 되었다”는 한계를 보였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게 되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B. C. Gruenberg는 교육에 과학적 관리론을 적용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그에 따르면, F. E. Spaulding과 F. Bobbitt의 주장은 교육적으로 타당했다기보다는 능률을 중시하는 시대조류에 힘입은 것이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대현(2011).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 김진규(2007).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동문사.
- 손영환 외(2007).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동문사.
- 이형행 외(1998). 교육행정론. 양서원
- Brubacher, J. S.(1999). 교육문제사. 이원호 옮김. 문음사.
내 손님들,
늘 건강하기 바랍니다.
'임용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일러 수업 자료입니다! (0) | 2016.04.11 |
---|---|
교육목적, 내용, 방법 (0) | 2015.08.10 |
보상교육 관련 자료 올립니다. (0) | 2014.11.27 |
인지양식/학습양식 (0) | 2014.08.03 |
교육사회학 교재 13장 관련 (0) | 201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