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9

교수설계: ADDIE 모형

https://www.youtube.com/watch?v=aMAy-9tKcjw 1. 교수체제의 개발 분야 교수체제 개발 분야는 교육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탐구영역이다. 교수체제 개발이란 교수-학습 상황을 일종의 체제로 간주하고, 체제적 접근방법을 동원하여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2. ADDIE 모형 교수체제개발(ISD)의 기본 모형은 ADDIE 모형이다. ADDIE 모형의 5단계: 1) Analysis: 분석 2) Design: 설계 3) Development: 개발, 4) Implementation: 실행 5) Evaluation: 평가 I. 1단계: 분석 (1) 요구분석 - 요구(need)란 어떤 상황의 “바람직한 상태”(what should be)와 “현대..

카테고리 없음 2022.06.04

부르디외(P. Bourdieu) 문화재생산이론

*문화재생산이론 ① 학교교육을 통한 불평등 재생산을 문화에 초점을 두어 설명하는 이론으로 갈등주의 패러다임에 속함. ② 학교는 지배집단의 문화를 재생산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곳임. ③ 대표적인 학자: Bourdieu, Bernstein 등. (1) Bourdieu의 문화재생산론 - P. Bourdieu는 교육, 문화 및 지배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문화자본이라는 개념을 사용함. 가. 자본의 정의 ① Bourdieu는 경제적 자본 이외에도 직접적으로 물건과 교환되는 화폐-경제적 자본-는 아니지만 어떤 형식으로든 경제적 이익을 발생시키는 것을 자본이라고 함. 나. 자본의 종류 ① 경제적 자본 - 직접 화폐로 전환될 수 있으며 소유권의 형태로 제도화되어 있는 자본. - 예: 금전, 토지, 임금, ..

카테고리 없음 2022.02.21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를 간단히 표로 요약한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구조기능주의 갈등주의 특징 ·구조와 기능에 초점, 사회의 유지, 존속, 통합 강조. ·합의론이라고도 함. ·사회를 유기체에 비유하여 이해. ·대표적 학자: Comte, Spencer, Malinowsky, Durkheim, Parsons, Merton 등. ·사회변화의 정적인 면 강조, 비교적 보수적인 견해. ·1950년대와 60년대에 지배적. ·사회의 본질을 갈등과 변동 그리고 강압의 과정으로 파악. ·사회변동을 발전의 가능성으로 봄. ·대표적 이론: 마르크스 및 베버에 뿌리는 둔 이론들 사회관 ·사회의 구조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많은 부분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회 구조에 속한 부분들은 각각 제 기능을 함. ·각 부분들은 서로 통합..

카테고리 없음 2021.09.13

M. Seligman: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이론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W8GglgtZjwY 참고: 동기이론: (1) 정신분석학적 접근 (2) 행동주의적 접근 (3) 인지주의적 접근 (4) 인본주의적 접근 인지주의적 접근: “동기에 대한 인지주의적 관점은 ‘인간이 세계에 대해 이해하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라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인지주의 이론가들은 인간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사고하는 이성적인 존재로 보며, 인간의 내재적인 동기를 강조하여 외적인 동기를 강조하는 행동주의 입장과는 대조적인 차이를 보인다. 인지주의적 접근의 대표적인 이론으로 귀인이론, 자기가치이론, 기대x가치이론 및 자아효능감이론 등”이 있다.(구광현, 189쪽) 1. 개관: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이라는 개..

카테고리 없음 2021.07.09

매슬로(A. H.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참고자료 youtu.be/Gr6i_fs-OS4 youtu.be/M4ApcXESxbI *인본주의 심리학의 동기이론 1. 이론의 개요 - 인본주의 심리학은 신경증환자와 정신병자를 주요 대상으로 연구한 프로이트 학파의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건강하고 정상적인 인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심리학 및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과 달리 인간의 자유의지, 결단, 책임을 강조하였다. - 대표자로는 매슬로(A. H. Maslow), 로저스(C. R. Rogers) 등이 있다. 2. 자아실현 - 모든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동기 또는 경향이 있다는 입장이다. - 자아실현의 정의: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시켜 사용하는 것, 타고난 잠재능력과 소질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카테고리 없음 2020.12.25

강화와 벌 구분하기(IV)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rK_WvWjWVaQ 강화와 벌 구분하기(IV)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나오는 용어로 강화와 벌이 있습니다. 다음의 내용은 이 블로그 앞에서 여러 번 나왔습니다. (‘부적 강화와 벌 I, 강화와 벌 II, 강화와 벌 III). 같은 얘기지만 다시 요약해 봅니다. 강화와 벌 구분하기: 제 블로그를 보면, 제일 많이 찾아오는 항목들 중에 하나가 강화와 벌입니다. 많은 학습자들이 “강화”와 “벌”을 구분하는 것을 어려워 합니다. 이 둘을 섞어서 생각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제부터 간단히! 먼저 강화는 뭔가요? 강화는 용어 자체가 행동의 “빈도 증가”를 뜻합니다! 벌은 뭔가요? 반응을 “약화”시키거나 “빈도를 감소”시키려고 하는 하는 것입니다. ..

임용교육학 2020.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