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교육학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의 교육

biumbium 2018. 8. 18. 19:23


 

종교개혁기의 교육

 

1. 개관


- 종교개혁은 루터가 <면죄부(免罪符)에 관한 95개조 논제>라는 항의문을 비텐베르크대학의 교회 정문에 게시한 것이 발단이 되어 일어났다.

- 종교 그 자체만이 아니라 봉건사회의 모순과 그에 대한 불만으로 사회를 개혁하고자 한 움직임이다.

- 르네상스의 인간 재생운동은 일부 지식층이나 중산층에만 국한되었지만, 종교개혁은 서구사회 전체의 모습과 방향을 전환시킨 대중적인 운동이다.

- 대표적 교육사상가:

루터, 츠빙글리(U. Zwingli, 1484~1531), 칼뱅(J. Calvin, 1509~1564), 멜란히톤(Ph. Melanchthon, 1497~1560) 등이 있다.

 

 

2. 루터(M. Luther, 1483~1546)의 교육사상

 

1) 인간은 선행에 의해서 아니라 믿음으로 구원을 받게 된다는 입장이다.

2) 성서주의: 교회조직의 권위가 아니라 성서만이 신앙의 규범이 되어야 한다.

3) 만인제사장설: 모든 기독교인이 사제의 중재가 없이도 독자적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을 수 있으며, 사제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고 사제로서의 직분을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4) 교육목적: 신앙인과 현세에 충실한 인간양성: 내세를 위한 참된 신앙인이 되는 것과 동시에 현세에서의 가정과 직업, 교회와 국가에 대한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도덕적인 인간양성을 교육목적으로 강조하였다.

5) 아동존중사상: 아동은 신이 맡기신 선물로 아동은 존중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부모는 가정교육을 통해서 아동의 신체발달과 정신교육, 신앙교육을 수행해야 한다.

6) 직업: 직업은 하느님이 내리신 소명으로 현세의 인간이 충실하게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의 영광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써 직업인·전문인의 육성을 강조하였다.

7) 교육의 기회균등과 의무교육 사상: 국가는 빈부귀천, 남녀 구별 없이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즉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공교육과 의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8) 교육내용: 성서와 교리문답, 모국어, 음악, 체육 외에 고전어, 즉 그리스어, 라틴어, 히브리어와 문법, 역사, 문학 등을 중시했다.

9) 초등교육을 중시하였다.

 

 

반종교개혁과 교육

 

1. 개관


- 반종교개혁은 종교개혁 운동에 대항하여 가톨릭 교도들을 자극하여 가톨릭 교회 내부에서 일어난 운동이다.

- 예수회(the Society of Jesuit)가 주도하였다.

 

2. 예수회의 교육


- 예수회는 1540년 스페인 출신인 성 이그나티우스 데 로욜라(Ignatius de Loyola, 1491~1556)가 역시 스페인 출신인 사비에르(F. Xavier, 1506~1552) 등과 함께 파리에서 창설한 가톨릭의 남자 수도회이다.

- 예수회의 목표: 회원 각자의 인격완성, 종교·교육·문화·사업을 통하여 높은 도덕심과 인내, 소명(召命)에 따르는 생활을 하도록 이웃에게 봉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교육사업: 1547년 처음으로 예수회 대학을 개설한 이래, 세계 곳곳에 226개의 단과대학과 종합대학을 설립하였으며, 4,000여 개의 중·고교와 기타 교육기관 등을 세워 운영하고 있다.

- 교육방법:

학습할 내용을 잘게 나누어서 한 번에 조금씩 학습하도록 했다.

- 수업은 강의와 반복의 두 단계로 구분되었다.

- 학습동기 유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정교한 동기유발 방법을 사용했다: 의무감, 부모를 기쁘게 하려는 마음, 경쟁심, 모방 심리 등을 활용하였다.

- 우수한 교사양성에 특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

- 예수회의 교육활동은 교수방법의 개발, 교사양성체제의 발전 그리고 중등 및 고등 교육기관의 보급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내 손님들,

오늘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