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매체와 수업: ASSURE 모델
교수매체와 수업: ASSURE 모델
1. 매체 선정 기준
① 전달하고자 하는 아이디어의 표현 정도, 학습내용에 도움성, 매체의 물리적인 상태
② 학습자의 연령, 지능, 경험 등 개인적 특성에 적합성
③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안내서의 존재,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조력 배양에 도움
④ 매체 이용에 드는 시간과 비용, 노력에 상응하는 가치 여부
2.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ASSURE 모델
- Heinich와 그의 동료들이 고안한 것으로,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이며, 이 모형을 사용하면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학습지도안을 쉽게 작성할 수 있다.
- ASSURE라는 이름은 6개로 구성되어 있는 중요 절차의 머릿글자를 모아서 만든 두문자다.
A: analyze learners
S: state objectives
S: 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U: utilize media and materials
R: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E: evaluation and revise
① 학습자 분석(analyze learners): 교수매체를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한다.
② 목표진술(state objectives):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목표[학습의 결과로 습득하게 될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명확하게 진술한다.
⇒참고: 수업목표 진술방법; 예: Mager의 교수목표 진술 방법
③ 교수방법, 매체, 자료의 선정(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참고: 교수방법의 종류: 강의법, 탐구학습법, 토의법, 협동학습법, 발견학습법 등
⇒참고: 매체: 시각매체(비투사매체: 실물, 모형, 그래픽, 만화, 사진, 차트; 투사매체: 슬라이드, OHP), 청각매체(라디오, 녹음기), 시청각매체(VTR, 영화, TV), 상호작용매체(컴퓨터, 멀티미디어)
④ 매체와 자료의 활용(utilize media and materials):
선정된 자료를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계획한다. 수업에 앞서 매체를 점검하고 연습하며 수업 환경을 정비한다. 학습자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하여 제시할 내용의 소개, 학습할 주제와의 관련성, 사용할 교수매체에 대한 정보를 주어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킨다.
⑤ 학습자의 참여 유도(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예: 토의, 필기 활동, 퀴즈, 연습문제 등.
⑥ 평가와 수정(evaluation and revise): 교수-학습활동이 끝나면 학습자의 성취도를 측정하고 매체와 방법에 대해 평가한 후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한다. 평가는 다음 수업을 위한 피드백으로 사용한다.
단계 | 내용 |
A: 학습자 분석(Analyze learners) | - 일반적 특징 - 구체적 출발점 행동 - 학습양식 |
S: 목표 진술(State objectives) | - 학습 대상자 - 행동 - 학습 조건 - 평가 수준 |
S: 방법, 매체 및 자료의 선택 (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 - 수업방법 선택 - 매체 선택 - 자료 선택, 수정, 제작 |
U: 매체와 자료의 활용 (Utilize materials) | - 자료의 사전 검토 - 환경 정비 - 학습을 위한 사전 준비 - 자료 제시 |
R: 학습자 참여 요구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 - 연습 - 과제 |
E: 평가와 수정(Evaluate and revise) | - 학업성취도 평가 - 매체와 방법 평가 - 교수-학습 과정 평가 - 수정, 보완 |
내 손님들,
공부에 대한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그렇지만 피곤하면 잠시 쉬시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