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지도안
1. 교수-학습의 단계와 주요 활동계획
교수-학습활동은 도입, 전개, 정리라는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 수업시간에 제공된 주요한 교수-학습활동을 도입, 전개, 정리의 세 단계로 나누어 요약·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지도단계 | 도입 | 전개 | 정리 |
주요활동 | 동기유발; 목표인지; 선수학습; 관련짓기; | 학습내용의 제시; 학습자료의 제시; 학습자의 참여; 다양한 수업기법의 활용; 시간과 자료의 관리 | 요약 정리; 강화; 일반화의 유도; 보충 및 예고 |
<교수-학습과정의 단계별 주요 활동>
2.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교수자는 매 시간 수업을 위한 계획을 작성하여 그것을 기초로 수업을 진행한다. 단시 수업을 위한 계획은 교수-학습 계획안, 교수-학습지도안, 시안(時案), 교수-학습지도안 등으로 부른다.
1) 교수-학습지도안의 작성
교수-학습지도안이란 단원의 전개계획에 따라 단시 수업을 효율적으로 전개시키기 위하여 수업의 전반적인 내용을 문서화한 지도계획이다
교수-학습지도안은 형식적인 것이 되어서는 안 되며, 체계적·조직적으로 충실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2) 교수-학습지도안의 양식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 정해진 양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교수-학습지도안은 교과목의 종류, 단원의 성격, 교육 현장의 여건, 학습자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해야 하되, 누가 보더라도 잘 알 수 있게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교수-학습지도안의 구성요소
- 단원명
- 지도대상
- 차시
한 단원은 일반적으로 여러 시간의 수업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 단원이 3시간으로 구성되었다면, 1차시, 2차시, 3차시의 수업은 각각 차시별로 교수-학습지도안이 작성되어야 한다. 각각의 교수-학습지도안은 본시 수업안이 되는 것이다.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할 때에는 단원의 총 시수와 본시가 몇 번째 수업에 해당하는가, 즉 차시를 기재해야 한다.
- 교수방법
- 수업목표
- 수업의 진행 과정(도입, 전개, 정리 단계별 학습내용) 및 시간 배당
- 교수-학습활동(교수자 및 학습자의 학습활동 내용과 방법)
- 교재, 자료, 수업매체
- 수업전략(동기유발방법, 발문 등)
- 판서계획
- 평가방법
- 과제의 내용
- 학습지도시 유의사항
4) 수업목표 진술방법
수업목표를 진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간단하고 명료하게 기술한다.
- 수업목표는 학습자들이 수업과정에서 습득하는 것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으로 인하여 일어난 행동의 변화, 즉, 수업 이전에 할 수 없었던 것을 수업이 끝난 직후에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기술한다.
- 수업목표는 이원 분류하여 진술한다. 이원 분류란 내용과 (도달점)행동으로 분류하는 것을 뜻한다.
- 교수자가 아니라 학습자를 주어로 하여 진술하되, 진술문에는 주어인 학습자가 생략될 수 있다.
- 도달점 행동은 명세적 행위동사로 진술한다.
예: (학습자는) 삼각형의 합동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학습자) 학습내용 도달점 행동(동사)
이 진술에서 학습자를 생략하고 ‘삼각형의 합동조건을 열거하라’와 같이 명령문으로 고치면 바로 시험문제가 될 수 있다.
(1) 메이거(R. F. Mager)의 수업목표 진술방식
수업목표 진술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Mager의 진술방식은 다음과 같다.
① 학습자의
② 도착점 행동과 (행위동사)
③ 그 도착점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 및 조건,
④ 도착점 행동이 어느 정도 숙련되어야 하는지를 밝혀 놓은 준거(수락기준)를 명시해야 한다.
예1) 현미경을 통해서 세포의 핵, 세포막, 액포, 미토콘드리아를 그릴 수 있다.
(조건 또는 상황) (준거) (도착점 행동, 동사)
예2) 트랙에서 100m를 15초 이내에 뛸 수 있다.
(조건) (준거) (도착점 행동, 동사)
- 수업목표진술에서 반드시 상황이나 조건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며, 준거를 반드시 포함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