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교육학

평가(2)_평가도구의 조건

biumbium 2018. 9. 21. 17:46


평가도구의 조건

 

좋은 평가도구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타당도

 

- 타당도(validity)란 그 검사 또는 평가도구가 평가하려고 하는 내용을 충실하게 측정하고 있는 정도를 뜻한다.

- , 검사점수가 검사의 사용 목적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하는 합목적성을 뜻한다.

- 타당도는 무엇을 측정하는 데 타당하다고 표현해야 한다.

- 예를 들어 수학 교과의 평가문항에서는 수학 교과만을 측정해야 하며, “지능을 재려고 한 평가도구는 다른 것이 아닌지능을 충실하게 평가하는 것이어야 한다.

- 타당도는 정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타당도가 있다혹은 없다가 아니라 어느 정도 낮다’, ‘적절하다’, ‘높다등으로 표현해야 한다.

 

2. 신뢰도

 

- 신뢰도(reliability)는 한 평가도구가 어떻게’(how) 측정하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 평가도구가 측정하고 있는 정도에 일관성이 있는가에 관한 것으로, 즉 측정의 오차가 얼마나 적은가의 문제이다.

- 항상성(consistency), 신빙성(dependability)과 같은 뜻이다.

- 예를 들어, 같은 물체의 무게를 재는데 잴 때마다 다르게 측정되는 저울이라면 측정의 일관성이 없으므로 오차가 크고 정확성이 떨어지는 평가도구라고 할 수 있다.

 

3. 객관도

- 객관도(objectivity)란 측정의 결과에 대하여 여러 검사자 혹은 채점자가 어느 정도로 일치된 평가를 하느냐의 정도이다. 검사자의 신뢰도라고도 한다.

- 검사자간 신뢰도: 측정의 결과에 대하여 여러 사람의 채점이나 평가가 일치하는 정도를 뜻한다.

- 검사자내 신뢰도: 동일한 검사자가 동일한 측정 결과에 대하여 상황에 따라 다르게 평가하는 것을 뜻한다.

- 객관식 검사 문항이 아닌 논술형 평가의 경우, 또는 평가에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이 포함되는 경우에 객관도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 객관도를 높이려면 평가도구의 객관화, 평가자의 소양, 평가 기준의 구체화, 다인수 평가, 문항별 채점, 응시자 이름을 가리고 채점하는 것 등의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4. 실용도

 

- 실용도(usability)는 평가도구의 제작, 구성, 실시에 있어서 경비, 시간, 노력이 적게 들어야 한다는 것으로 평가도구의 경제성을 의미한다.

- 실용도의 조건으로는 실시와 채점이 용이성, 해석의 용이성과 활용가능성 등이 있다.

 

오늘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