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교육학

위기지학(爲己之學)

biumbium 2018. 11. 30. 22:23


 

1. 유교와 인(), 그리고 위기지학(爲己之學)


유교가 추구하는 인간 최고의 목표는 성인(聖人)이 되는 것이며, 성인이 되는 길은 인()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면 인()은 어떻게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을 실현하기 위해서, 개인적 측면에서는 인격을 연마해야 하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사회의 교화적 질서가 확립되어야 한다. 인격의 연마와 사회의 질서 확립은 따로 떼어놓을 수 없는 것이지만, 사회의 질서 확립은 각 개인의 인격 연마 또는 수양에서 비롯되는 것이므로 유교는 본질적으로 성인(聖人)을 인간의 최고 목표로 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사상이다.

 

2. 성리학


성립 이래 여러 유파로 발전하면서 변천을 겪어온 유교는 11세기 송대(宋代)에 들어서 성리학(性理學)의 출현으로 전기를 맞았다. 성리학은 종래의 유교이론에 우주론, 형이상학적 이론을 더하고 유교이론의 체계화를 시도하여 유교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주돈이, 정호[정명도]와 정이[정이천] 형제, 그리고 12세기 남송의 주희(朱熹)[주자(朱子)] 등이 대표적 인물인 성리학은 신유학, 송학, 성리학, 정주학(程朱學), 도학(道學), 또는 중심인물인 주희의 이름을 따서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불린다.

 

3. 한국에서의 성리학


고려 말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하여 수입된 성리학은 조선 국초부터 통치이념으로 수용되었고 새로운 학풍을 이루며 발전하였다. 조선 초기의 유학자인 정도전, 하륜, 권근 등은 법전을 제정하고 정책입안에 참여하면서 유교가 조선에 뿌리내리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성리학은 16세기에 와서 한국적인 성리학으로 구축되고 절정을 이루게 된다. 이 시기의 학자들로는 이황, 이이, 서경덕, 이항, 김인후, 기대승 등의 학자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조선 성리학의 쌍벽을 이루는 이황과 이이의 사상은 인간성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룸으로써 교육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4. 퇴계 이황


퇴계의 교육목적은 유교사상의 중심 덕목인 인()의 구현에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학문 및 교육의 목적은 남에게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자가 자신의 인간됨을 형성해 가는 것으로서, 자신을 위한 학문이며 교육인 것이다[위기지학(爲己之學)]

 

5. 율곡 이이


율곡의 여러 저술에 학문이란 자신의 수양을 목적으로 추구해야 한다는 위기지학(僞己之學) 사상이 드러나 있다. 이는 조선 전기의 훈구파가 지향한 남을 다스리는 데 둔 학문, 이른바 위인지학(爲人之學)과 시가와 문장[사장(詞章)]을 중시한 것을 비판하면서, 유학의 근본인 경학을 중시한 16세기 이후 사림의 특징이기도 하다.



∗∗∗∗


교사임용고사 기출문제:

 

1) 공부의 목적을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위인지학(爲人之學)으로 구별할 때, 위기지학에 가장 가까운 것은? (02년 초등)

자기 자신의 성찰만이 진정한 공부가 된다.

남에게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출세를 위해 공부한다.

남이 무엇이라고 하든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공부한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보다는 여러 분야를 광범위하게 공부한다.

 

 

 

2) <보기>는 조선시대 유학자 이황(李滉, 1501-1570)의 교육관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은? (03년 중등)

 

이황은 학문과 수양의 방법으로 ()/,

목적으로 ()/ 중시하였다.

              

           ()                     ()

격물(格物)   위인지학(爲人之學)

입신(立身)   천인합일(天人合一)

거경(居敬)   위기지학(爲己之學)

박학(博學)   효제충신(孝悌忠信)

 

 

 

3) 조선시대 성리학자 이황(李滉)이 강조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가장 가까운 것은? (04년 초등)

문예(文藝)와 경학(經學)을 배워서 과거에 급제하여 군주의 왕도정치를 돕는 일

자연 현상의 과학적 관찰과 연구를 통해 사물에 내재해 있는 진리를 밝혀내는 일

성현의 말씀과 가르침을 통해서 도리와 덕행의 참뜻을 깨닫고 몸소 실행하는 일

학문적 도야를 통해 높은 학식을 쌓은 후 그 지식을 사회 개선을 위해 활용하는 일


 

 

4) <보기>는 퇴계 이황이올바른 공부란 무엇인가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한 말이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묶은 것은?


( )이란 우리가 마땅히 알아야 할 바가 도리이며 우리가 마땅히 실천해야 할 바가 덕행이라 믿고, 가까운 데서부터 시작하여 나가되 마음으로 이해하고 몸으로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공부이다. ( )은 마음으로 이해하고 몸으로 실천하는 데 힘쓰는 대신 자기 안의 공허함을 감추고 바깥으로 관심을 돌려 지위와 명성을 얻고자 하는 공부이다.

      

            ㉮                        ㉯

위기지학(爲己之學)    위인지학(爲人之學)

위인지학(爲人之學)   위기지학(爲己之學)

명물지학(名物之學)   도수지학(度數之學)

도수지학(度數之學)   명물지학(名物之學)

 

 

 

5) 주자학(朱子學)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공부의 모습과 거리가 먼 것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을 통한 참된 본성의 실현을 지향한다.

공부의 전() 과정에서 경()의 자세가 근간이 된다.

소학(小學)에서 대학(大學)으로 이어지는 단계를 밟는다.

()와 행()이 서로를 밝히고[相發] 함께 진전한다[竝進].

독서 공부는 순서상 역사서를 두루 읽은 후 사서(四書)로 나아간다.

 

 

 

                          오늘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