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교육학

교육평가: 정의와 기능

biumbium 2018. 12. 15. 01:24


교육평가란 무엇인가

 

교육평가는 사전적으로 학생의 학습과 행동 및 여러 교육조건을 교육목적에 비추어 측정하고, 이에 대하여 내리는 가치적 판정으로 교육측정으로 얻어지는 수량적 결과를 교육목적에 비추어 해석하고, 이를 교육문제의 해결에 활용하려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우리 사회에서 평가를 줄세우기와 동일시하는 왜곡된 평가관이 퍼져 있지만 교육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육효과의 향상을 꾀하는 데 있으므로 올바른 평가관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1. 교육평가의 정의

 

교육평가에 대하여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교육목표와 어느 정도 합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보는 입장

- 타일러(R. W. Tyler)가 대표적이다.

- 교육의 단계에서 목표에 접근해 있는 정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뜻한다.

- 타일러식의 이러한 평가관은 학교현장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교육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또는 그 과정으로 보는 입장

- 크론박(L. J. Cronbach)스터플빔(D. L. Stufflebeam) 등이 대표적이다.

- 예를 들어, 학교평가를 한다면, 평가하려는 학교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정보나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을 평가로 보는 것이다.

- 이 관점에서 평가는 자료를 수집하여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한정되고 최종적인 판단은 의사결정자에 달려있다고 본다. 즉 평가자[정보를 수집하는 사람]의 임무는 자신의 가치관을 배제하고 교육현장을 있는 그대로 기술(describe)하는 것이다.

- 이 입장은 평가자와 의사결정자의 역할을 분리하고 있다.

 

3) ‘교육과 관련된 어떤 대상의 장점, , 가치 등을 판단하는 과정과 그 산물로 보는 입장

- 대표적인 학자로는 스크리븐(M. Scriven)스테이크(R. E. Stake) 등이 있다.

- 이 입장에서 평가자는 평가대상의 상태를 가치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평가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은 어느 하나가 옳고 다른 것은 옳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없고 평가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맥락, 상황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2. 교육평가의 기능

 

첫째, 교육평가는 궁극적으로 교육(또는 교수-학습)의 전()과정(교육목표 설정,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활동, 평가)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교육의 과정이란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순환활동이기 때문에, 교수-학습의 전과정에서 평가가 이루어져서 후속 활동 개선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둘째,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 교육평가는 교육관련 주체들의 자기 이해를 돕는 기능을 한다. 학습자, 교사, 학교 행정가 등이 평가를 통하여 자신의 단점이나 장점, 문제점 등을 스스로 판단하고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넷째, 교육평가를 통하여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거나 진급, 자격증 부여, 수상 등을 위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내 손님들,

편안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