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교육사: 18세기 계몽주의와 교육
서양교육사: 18세기 계몽주의와 교육 1. 개관 - 칸트(I. Kant)의 ‘계몽’에 대한 정의: “계몽이란 인간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하는 미숙함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미숙함이란 다른 사람의 인도 없이는 자신의 지성을 사용할 능력이 없는 것이다. 그 원인이 지성의 결핍이 아니라 결단과 용기의 부족에 있는 것이라면 미숙함의 책임은 자기 자신에게 있다. 사페레 아우데(Sapere aude)! 당신 자신의 지성을 사용하겠다는 용기를 가져라! 이것이 바로 계몽주의의 표어이다.” - 계몽주의는 18세기에 유럽을 지배한 사회사상으로 프랑스혁명에 원리를 제공한 사상이다. - 근대를 연 데카르트 이래의 반종교적(현세적)·반형이상학적(과학적) 사고방식이 자연인식 뿐만 아니라 사회인식에까지 확장된 것이다. - 프랑스의 계몽주의는 백과전서학파로 대변된다. - 이성을 중시하며 미신적, 비과학적 전통이나 편견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지식, 합리적 사고를 중시한다. - 현세에 대한 관심, 세속화를 촉진시켰다. - 모든 것을 이성의 빛에 비추어 판단하는 비판적 정신으로 인간 미래의 진보를 신뢰한다. - 사고방식·학문·종교·도덕 등 모든 것에 대한 비판적·합리적인 태도를 보급시켜서, 일반민중의 지적 수준을 높이려고 하였다. 2. 교육사상 1) 교육목적: 스스로 생각하고 모든 사물을 자신의 이성의 힘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인간의 양성에 있다. 2) 개성의 강조: 개성, 특히 아동의 개성을 존중하고 초자연적으로 교육할 것을 강조한다. 3) 교육내용: 합리적인 것만으로 구성하며 철학·자연과학·정치·경제·미술·문학·사교상의 예법 등에 치중했다. 4) 일반국민교육 이념이 발달하였다. 5) 루소를 대표로 하는 자연주의 교육사상과 라 샬로테(L. R. C. La Chalotais, 1701~1785), 콩도르세 등에 의하여 국민교육론, 국가교육체제에 대한 사상이 특징적이다. 3. 콩도르세의 교육사상 - 콩도르세(M. de Condorcet, 1743~1794)는 프랑스의 철학자·수학자·정치가이다. - 입법의회·국민 공회의 의원으로도 선출되어 웅대한 문교 조직 계획과 헌법안 등을 제출하였으나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 교육목적: 각 세대에게 육체적이고 지적이며 도덕적인 능력을 개발하여 인간의 점진적이고 일반적인 진보에 공헌하는 것이다. - 사상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 국가는 도덕, 종교에 관한 의견보다는 사실에 관한 지식이나 수에 관한 지식만을 가르쳐야 한다. - 교육의 기회 균등: 진정한 평등을 위하여 국민 누구도 낙오됨이 없이 교육시켜야 한다. - 국가는 교육 내용과 방법에 관하여 재정과 시간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 가난하면서도 능력이 있는데 가난으로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사람의 교육을 위한 국가 장학금제도를 제안했다. - 영향: 국가주의 교육사상은 당시에는 실현되지 못하였으나 19세기에 공교육제도의 발달, 의무교육제도의 확립 등에 영향을 주었다. 오늘 편안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