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교육학

서양교육사: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biumbium 2019. 1. 20. 22:47


서양교육사: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1) 개관

- 루소(J. J. Rousseau, 17121778)는 스위스 출신의 대표적인 사상가로 주요저서에는 인간불평등기원론, 에밀, 사회계약론등이 있다.

- 루소의 교육사상은 현대교육의 심리적, 사회적, 과학적 배경이 되었다.

- 교육사상은 성선설 및 자유주의에 입각한 자연주의에 기초한 것이다.

- 교육목적: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을 길러내어 자연인으로서의 자유와 권리에 기초한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 교육내용: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연스러운 활동을 토대로 하며, 신체발달과 건강을 중시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도덕교육, 지적교육 및 종교교육이 강조된다.

 

2) 교육론

(1) 교육의 3요소:

자연: 인간이 타고난 능력(자연성)

인간: 인간에 의한 인간교육

사물: 인간을 둘러싼 환경 전체로 이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특히 인간과 사물에 의한 교육은 자연의 교육에 일치해야 한다.

 

(2) 교육방법: 자연에 따르는 교육방법, 실물교육, 직관교육

어린이 발달단계의 특징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교육을 중시한다. 아동중심교육으로 어린이의 자유에 근거한 자발성, 흥미와 활동중심, 개성중심, 생활중심을 강조한다.

 

(3) 소극적 교육론:

- 인위적으로 사회의 관습과 기준을 강요하는 교육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내적 발전을 방해하는 것으로 보았다.

- 교육은 아동이 타고난 선성을 자발적으로 형성해가도록 자유를 주어 개인의 능력, 소질, 성향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 성인사회의 인위적인 형성이나 직접적인 간섭, 개입, 영향을 배제해야 한다는 점에서 소극적 교육론이다.

 

(4) <에밀>의 교육단계: 어린이의 발달단계에 따르는 교육

1: 유아기(02): 신체발달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자연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2: 아동기(212): 감각기관이 발달하는 단계로, 이 시기에는 언어습득과 감각기관의 발달에 유의해야 한다. 문자에 의한 지식교육이 아니라 실제 생활 속에서 감각을 통한 사물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감각훈련은 이성적 사고발달의 기초가 된다.

3: 소년기(1215): 이성적(理性的) 활동과 지적 호기심이 왕성해지는 시기로 지식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그러나 책을 통한 지식습득이 아니라 자연현상을 직접 경허하고 관찰하며 발견하는 활동을 중시해야 한다.

4: 청년기(1520): 사회적, 도덕적인 존재로서 사회생활의 준비에 필요한 교육의 시기이며 도덕적, 종교적 교육이 요구된다. 우정, 동정 및 이성(異性)에 대한 감정이 싹튼다.

5: 결혼기(20세 이후): 이 시기에는 배우자를 발견하여 가정을 형성하며, 가족 사회 국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하게 된다. 5부는 에밀의 아내가 될 소피라는 여성의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현모양처가 되기 위한 교육을 논한다. 순종, 겸양, 수예, 가사 등이 강조되었으며, 여성에게 적합한 정도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지적, 정서적 교육을 논했다.

 

5) 루소의 영향: 루소의 교육사상은 바제도우, 페스탈로치, 프뢰벨, 헤르바르트, 엘렌 케이 등에 영향을 주었다.

 

오늘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