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발주의 교육철학(1)
계발주의 교육철학(1)
1) 개관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아동중심교육관에 기초한다.
- 과학적 관찰을 통한 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하여 아동의 자연스러운 성장 발달을 도모한다.
- 인간발달의 법칙에 근거하여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을 발달시키고자 하였다.
-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교수법의 개선, 교사훈련의 개선 등의 측면에 변화를 가져왔다.
- 대표자로는 페스탈로치(J. H. Pestalozzi, 1746~1827), 프뢰벨(F. W. A.
Fröbel, 1782~1852), 헤르바르트(J. F. Herbart, 1776~1841), 슐라이어마허
(F. E. D. Schleiermacher, 1768~1834) 등이 있다.
2)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1) 주요 저서
⋅《은자(隱者)의 황혼》(1780), 《게르트루트는 어떻게 그의 아이들을 가르치는가》(1801) 등이 있다.
(2) 교육론
- 삼육론(三育論): 머리, 가슴, 손이 조화된 교육을 강조하였다.
- 도덕교육(가정교육): 도덕적 도야의 근원이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과 믿음에 있다고 보고 도덕교육을 강조하였다.
- 학교교육에 대한 입장: 민중이 자립적으로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면 학교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노작교육(勞作敎育, Arbeitserziehung): 기술적 능력이 지적·도덕적 능력의 도야에 기반이 된다고 생각하여, 학생들의 육체적 활동을 통한 교육을 강조한다.
(3) 교육원리
① 자발성의 원리
·강제적 학습이 아니라 아동의 호기심과 흥미에 의하여 학습하게 한다.
② 조화의 원리
·머리(head), 가슴(heart), 손(hand)의 교육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③ 직관의 원리
직관교육, 즉 학습에 있어서 판단·추론 등을 개재시키지 않고, 대상을 직접적으로 인식함으로써 학습해야 한다.
④ 방법의 원리
·수(數)·형(型)·어(語)의 순서로 가르친다. 즉, 사물에 대하여 분명하게 인식하기 위하여 먼저 사물의 수를 파악하고, 그 다음에 사물의 형태를 파악하며, 그 다음에 그 사물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
(4) 교육방법의 일반원리
- 자연의 방법에 따라 교육이 행해져야 한다.
- 관찰, 즉 감각적 직관은 학습지도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 언어는 항상 실물 또는 내용과 결부되어야 한다.
- 교수는 가장 단순한 요소로부터 출발하여 점진적으로 촉진되어야 한다.
- 교사는 아동의 개성을 존중하며, 훈육은 애정에 의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 직관에서 시작하여 개념으로 나아가야 한다.
- 교수는 교육을 보다 높은 목적에 종속시켜야 한다.
내 손님들,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