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수설계: ADDIE 모형

biumbium 2022. 6. 4. 21:53

https://www.youtube.com/watch?v=aMAy-9tKcjw

1. 교수체제의 개발 분야

 

교수체제 개발 분야는 교육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탐구영역이다. 교수체제 개발이란 교수-학습 상황을 일종의 체제로 간주하고, 체제적 접근방법을 동원하여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2. ADDIE 모형

 

교수체제개발(ISD)의 기본 모형은 ADDIE 모형이다.

 

ADDIE 모형의 5단계:

1) Analysis: 분석

2) Design: 설계

3) Development: 개발,

4) Implementation: 실행

5) Evaluation: 평가

 

I. 1단계: 분석

 

(1) 요구분석

 

- 요구(need)란 어떤 상황의 바람직한 상태”(what should be)현대의 상태”(what is)의 차이이다. 요구분석의 결과로 프로그램의 목적을 도출할 수 있다.

 

 

(2) 학습자 분석

 

- 출발점 능력

 

- 일반적 특성: 나이,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SES), 직무유형, 조직내의 역할 및 경험, 근무장소, 취미, 일반지능, 동기수준)

- 학습양식: 장의존적형과 장독립자형 / 시각자형과 언어자형 등

 

(3) 환경분석

 

- 학습환경: “새로운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하는 학습장의 환경

- 수행환경: 습득한 지식, 기능, 태도를 활용하는 직무환경

 

(4) 직무 및 과제분석

 

- 교육훈련의 목적(goal), 즉 영역(domain)에 한하여 영역을 분석한다.

- 직무 및 과제분석 방법

 

 

II. 2단계: 설계

 

- 2단계를 통하여 교육훈련의 전체 모습, 즉 청사진 또는 설계명세서를 만들어낸다.

 

(1) 수행목표 명세화

 

- 수행목표 영역: : Bloom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

수행목표 구성요소: ABCD Rule

교수-학습지도안에 나오는 수업목표진술방법!

 

(2) 평가도구 개발

 

- 영역(: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에 따라서 평가도구를 설계하는 방법이 달라야 한다.

 

평가도구

- 인지적 영역의 목표: : 지필검사가 많이 사용된다.

- 정의적 영역의 목표: : 학습자의 선호도를 묻거나 행동을 관찰한다.

- 심체적 영역의 목표: : 학습자들에게 실행해보게 하고 수행을 측정하는 checklist를 사용한다.

 

(3) 계열화

 

- 수행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이 제시되고 경험되는 순서를 정하여 배열하는 단계이다.

 

- 계열화는 추출된 수행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과제의 구성요소들(지식, 기능, 태도)을 배열하는 일이다.

 

- 계열화의 원리:

   ⋅ 주제별 계열화

   ⋅ 나선형 계열화

 

(4) 교수전략/매체선정

 

- 교수전략: 교수-학습에 대한 철학(발견학습, 수용학습), 학습집단의 단위(개별, 소집단, 대집단), 통제의 중심(교사주도, 혼합, 학습자 주도), 그리고 환경(직무환경, 교실환경)과 같은 큰 규모의 이슈와 관련된다.

 

- 교수전술: 방법(강의, 개인지도, 토론, 자습, 실험실 등), 매체(인쇄물, 비디오, 컴퓨터이용 등)와 특정한 교수활동(시연, 규칙제시, 연습제공, 피드백제공 등)이 관련된다.

 

- 교수매체 선정: 학습의 유형, 학습자의 특성과 같은 수업학습의 상황뿐만 아니라 장비와 시설의 가용성, 개발자의 전문적 기능, 그리고 자료의 내구성과 비용효과성 등을 고려한다.

 

        ⇒ KellerARCS 모형 참조!

 

 

III. 3단계: 개발

 

(1) 교수자료 개발

 

- 명세화된 수행목표 이행을 위한 교수자료를 개발하는 단계이다.

 

- 교수자료에는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학습지침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각종 교수매체, 검사도구 등

 

(2) 형성평가 및 수정

 

- 만들어진 교수자료를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문제점을 찾아내어 수정보완하는 활동이다.

 

-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실행하기 직전에 종합 점검(, pilot test) 성격의 형성평가로 여러 번 반복 실시한다.(주의: 총괄평가 아님!)

⇒ 참고:

제품, 즉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다. 학생들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물론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을 사용할 사람들을 대상으로 평가하겠지만,

이 형성평가의 목적은 학생들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시제품을 점검하는 형성평가이다.

 

 

(3) 제작

 

- 형성평가 후에 수정을 통하여 개발된 교수자료를 제작한다.

- 교수자료는 외부기관에 계약을 통하여 매체제작을 전문가들에게 맡기거나 내부의 제작센터에서 제작하는 방법이 있다.

 

 

IV. 4단계: 실행

 

(1) 프로그램의 사용 및 설치

(2) 유지 및 변화 관리

 

 

V. 5단계: 평가

 

-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는 총괄평가의 단계이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