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교육학

기억을 강화하는 방법

biumbium 2009. 8. 16. 15:04

 

 

 

공부하는 방법에 대하여 짧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이 다 알고 있는 쉬운 내용들입니다.

그런데도 여기에 올리는 이유는 알고 있다고 해도 실천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책에서 기억을 개선시키는 방법과 망각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읽다보면, 하나의 예외도 없이, “능동적”으로 자기 것을 만들라는 것인데요.

 

“능동적”으로 자기 것을 만든다는 것은 머리를 쓰는 것, 노력, 그리고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것이 반드시 포함됩니다.

 

나도 그렇고 여러분들도 그렇고, 우리는 머리 아프니까 내 머리 안 쓰려고 하고. 시간 없으니까 시간 줄이려고 하지요. 그런데 그렇게 하면 머리에 들어오는 것은 없고 시간이 줄지도 않는다는 거에요.

 

지름길? 그런 것은 없습니다. 시간 줄이려고 한다는 것이 시간이 더 든다니까요. 진짜루요.

 

오늘, 지금, 공부할 때 머리쓰고 시간 들여서 - 진도가 진짜 더디게 나가더라도 말이지요 - 한 번만 시도해 보세요.

 

수업시간에 내가 늘 말했지요, 내용 읽기 전에 차례부터 읽어라, 다음 내용으로 들어갈 때 다시 차례를 봐라 ... 뭐 이렇게요. 그것만 해봐도 꽤 도움이 됩니다.

 

오늘도 덥습니다. 이열치열도 좋습니다.

 

건강하세요.

 

김명신

 

 

1. 기억 강화 방법

 

1) 주의집중

- 주어지는 자극의 크기, 색, 명암, 형태 등 자극의 속성에 주의를 집중하여 관찰하는 것이 장기기억에 도움이 된다.

 

2) 심상의 이용

- 기억해야 할 자극을 머리 속에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상으로 그려보는 것이다.

- 예를 들어, 어떤 실험에 필요한 도구들을 기억해야 하는 경우에, 도구들의 이름만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도구들의 모양을 머리 속에 그려본다.

- loci법(장소법): 기억해야 할 정보들을 자신에게 익숙한 거리, 장소 또는 대상과 연결지어 기억하는 방법이다.

- 추상적인 개념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3) 정보의 조직화·체계화

- 정보들의 관계를 찾아 요약하고 체계적으로 조직화함으로써 의미있는 체계를 만든다.

- 이렇게 하여 기억해야 할 단위용량을 줄일 수 있다.

- 청킹하는 것도 이에 속한다.

 

4) 의미화

- 기억해야 할 정보를 그 정보와 관련된 의미와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 상점의 전화번호를 4989를 사용하면 기억하기가 쉬운 것이 그 예이다.

 

5) 기술화

- 수학 공식을 암기하는데 노래를 만들어서 부른다든가, 내용과 내용을 연결해주는 이야기를 만들어 암기하는 방법이다.

- 예: 태정태세문단세 ..., 빨주노초파남보 하는 식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6) 암기를 통한 반복 인출

- 암기·암송을 통하여 기억한 것을 능동적으로 회상한다.

 

7) 언어나 신체적 활동

- 말이나 활동을 수반하면 기억에 도움이 된다.

- 예를 들어, 중요한 부분을 읽고 쓰면서 암기하는 것이 눈으로만 보는 것보다 더 잘 기억이 된다.

 

 

2. 기억방략: PQ4R

- 장기기억에 도움이 되는 기억방략이다.

 

1. 사전검토(preview)

어떤 책의 한 장을 공부하려고 한다면, 그 장 전체를 읽어내려가지 전에 그 장의 주제를 검토한다. 요약된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을 읽고 소주제들을 살펴보면서 그 장의 구성을 마음속에 지도로 그린다.

 

2. 질문(question)

학습할 내용에 대하여 스스로 질문을 만든다.

 

3. 읽기(read)

- 본격적으로 읽는다. 한꺼반에 많은 양을 읽는 것보다 하나의 소주제가 끝나면 그 내용을 정리하는 식으로 분산학습을 하는 것이 좋다.

- 읽으면서 앞 단계에서 만들어 놓은 질문에 대한 답을 만들어나간다.

 

4. 숙고(생각하기, reflect)

- 읽고 있는 내용이 이전에 나온 내용이나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들과 관련짓는다.

 

5. 암송(recite)

- 요점을 암송한다.

 

6. 재검토(재음미. review)

- 한 장을 다 읽은 다음에 한 장 전체를 재검토한다.

- 암송과 재검토는 능동적 인출에 도움이 된다.

'임용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urkheim자료  (0) 2009.09.09
국가발달과 교육  (0) 2009.09.07
부적 강화와 벌 I  (0) 2009.08.02
"성찰적 근대화" 자료  (0) 2007.11.05
사회화관련자료1  (0) 200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