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교육사: 18세기 계몽주의와 교육 서양교육사: 18세기 계몽주의와 교육 1. 개관 - 칸트(I. Kant)의 ‘계몽’에 대한 정의: “계몽이란 인간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하는 미숙함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미숙함이란 다른 사람의 인도 없이는 자신의 지성을 사용할 능력이 없는 것이다. 그 원인이 지성의 결핍이 아니라 결단과 .. 임용교육학 2019.01.14
생활지도의 원리 생활지도의 원리 1. 생활지도에 대한 이해와 오해 우리는 교사가 생활지도를 한다거나 학생이 생활지도 대상이 되었다고 하면 흔히 ‘문제학생’ 또는 ‘훈육, 명령, 징계’ 등의 부정적인 생각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는 생활지도에 대한 매우 그릇된 편견이다. 생활지도란 영어의 Guidance.. 임용교육학 2019.01.06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참고자료: 과학적 관리론 youtu.be/KCj_LpIpD8M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교육행정 이론은 특히 성립 초기에 행정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행정학 이론이 교육행정 이론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행정학(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은 행정현상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사회과학으로 19세기 후반부터 사회적 필요에 의하여 발달한 학문이다. 사회적 필요란 산업사회의 발달로 생산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을 뜻하는 것으로 행정의 관심은 행정의 능률화에 있었다. 1. 과학적 관리론(1900~1930년) 알아두기: 행정학의 발달 초기에 나온 고전적 관리론을 두 가지로 분류하면, 공장에서의 작업과 작업자의 관리에 초점을 두는.. 임용교육학 2018.12.29
교육행정의 기초: 관점, 정의 교육행정이란 무엇인가 1. 교육행정의 대두 배경 사람들이 교육행정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18~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산업사회의 성립과 발전,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의 발전, 공교육제도의 성립과 확립, 도시화 등의 여러 가지 사회적 변화로 교육이 확대되면서 교육을 효과적으로 관.. 임용교육학 2018.12.22
교육평가: 정의와 기능 교육평가란 무엇인가 교육평가는 사전적으로 “학생의 학습과 행동 및 여러 교육조건을 교육목적에 비추어 측정하고, 이에 대하여 내리는 가치적 판정으로 교육측정으로 얻어지는 수량적 결과를 교육목적에 비추어 해석하고, 이를 교육문제의 해결에 활용하려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 임용교육학 2018.12.15
브루너(J. S. Bruner)의 발견학습 이론 브루너(J. S. Bruner)의 발견학습 이론 1. 이론의 개요 - 브루너의 발견학습 이론은 “어떤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어린이에게도 교과를 어떤 정직한 형태, 즉 지식의 근본적인 구조로 표현한다면 어떠한 지식도 가르칠 수 있다”고 하는 가설에 근거한다. - 인지발달은 행동적 표상, 영상적 표.. 임용교육학 2018.12.09
위기지학(爲己之學) 1. 유교와 인(仁), 그리고 위기지학(爲己之學) 유교가 추구하는 인간 최고의 목표는 성인(聖人)이 되는 것이며, 성인이 되는 길은 인(仁)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면 인(仁)은 어떻게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인(仁)을 실현하기 위해서, 개인적 측면에서는 인격을 연마해야 하고, 사회적 측면에서.. 임용교육학 2018.11.30
훌륭한 부모: 로크의 교육론 훌륭한 부모: 로크의 교육론 “아이가 물질적으로는 부유하지만 정신적으로는 가난하게 만드는 부모는 훌륭한 부모가 아닙니다.” “비싼 옷으로 꾸미고 사치스럽게 생활하며 무익하기만 한 하인을 두면서 호사스러운 생활을 지켜주지만, 정신은 굶주려 수치스러운 부분마저 드러내는 .. 교육에 대하여 2018.11.24
덕(德) 교육: 존경과 사랑을 받는 아이를 원한다면 덕(德) 교육: 존경과 사랑을 받는 아이를 원한다면 "유덕한 사람은 타인으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받습니다. 수용적이며 인내력이 강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덕은 절대 불가결합니다.” 영국의 계몽주의 철학자 로크(John Locke)가 《교육에 관한 에세이》(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1693)[주1]에.. 카테고리 없음 2018.11.18
익애(溺愛) 익애(溺愛) “아직 어리니까 떼도 부리고 말도 안 듣고 그런 거지! 크면 알아서 잘 할 거야!” 그렇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아이의 기를 꺾어서는 안 되지!”, “아이들이 자유스럽게 자라도록 두어야지!” 그렇기도 하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그렇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부모는.. 교육에 대하여 2018.11.10